누군가에게는 불행, 누군가에게는 행운

2020년 12월 20일 | CEO story

헨리 포드는 모두가 비웃을때 “만약 고객에게 무엇을 원하는 지 물었다면, 그들은 더 빠른 말과 마차라고 답했을 것이다.”라고 했고, 누군가는 신기술이 쏟아지는 시대에 의식주 걱정없는 수저로 태어나서도 세상을 원망하며 사다리 걷어차기를 당한 시대라고 한다.

요양기관이나 보육원에 가보면 몸과 마음이 건강한 것만을 소망하는 사람들이 가득한데, 건강한 사람들은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한다.

인생은 도대체 왜 같은 사실도 다른 모습으로 보게 하는 것인가.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에서 에크하르트 톨레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불행의 주요 원인은 결코 상황이 아니라 그 상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이다. 자신이 하고 있는 생각을 알아차려야 한다. 생각을 상황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상황은 언제나 중립적이며, 언제나 있는 그대로이다.”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다면 있는 그대로와 대면하라. 지금 당장은 이것이 현실이다. 이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도, 그것 때문에 스스로 불행해지는 것도 나의 선택에 달린 일이다.”

인생은 해석의 문제다.
전쟁터에서 군인 하나가 사상자가 되면 아군에게는 슬픔을, 적군에게는 전공을 가져다준다.
부동산 폭등을 보며 삶이 어둠으로 가득찼다고 느끼는 분은 서울시의 빈민촌을 보지 못하고 단면만으로 세상을 해석한다.
우리나라가 암울하다고 느끼는 분은 매일 수만명 이상의 환자를 보면서도 마스크없이 줄서기 하는 이탈리아, 카스트 제도로 불가촉 천민을 연쇄성폭행하고 살인하는 인도나 내전중인 국가들의 참상을 외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모든 사실은 중립적이다.
누군가에게는 불행, 누군가에게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것은 사건이 아니라 해석이다.
마음의 편광렌즈에 우리 삶을 빼앗기지 말자.
내 생각을 바라보자.

다른 게시물 더보기

강제로 인사시키지 않는다 : 동료를 몰입하도록 만드는 방법

강제로 인사시키지 않는다 : 동료를 몰입하도록 만드는 방법

어떤 일을 왜 하는지, 그 일이 완료되면 어떤 결과가 기대되는지, 지금 이 일을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지가 전달되지 않았으므로 저런 이야기가 나왔음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그 때 이미 우리는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꼰대의 늪에 빠져들게 된 것이다.

우려를 배려로 변화시킨다

우려를 배려로 변화시킨다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결국 ‘스트레스 호르몬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하는 방향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 변화를 본의와 타의에 의해 늘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을까?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직 만들기 (1)미션 설정하기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직 만들기 (1)미션 설정하기

미션은 그 회사가 존재해야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좋은 멤버일수록 급여와 복지보다 그 회사의 미션과 문화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미션이 잘 전달된 구성원은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갖는다. 잘 설정된 미션은 힘든 상황에서도 버틸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