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사이가 아니라 친절한 사이가 된다

2022년 11월 20일 | CEO story, Culture

724명의 생애를 무려 75년간 추적 연구한 하버드대학교의 성인발달연구에 따르면 행복의 비결은 ‘좋은 관계’로 밝혀졌다. 특히 젊은 시절 응답한 대상자들의 삶의 목표는 대부분 부와 명예였는데, 50세 이후로 접어들면서 건강한 삶의 비결은 결국 ‘양질의 인간관계’라고 꼽은것이 흥미롭다.

좋은 관계는 고독감을 주지 않는 양질의 관계를 의미한다. 갈등이 많은 결혼은 이혼보다 해로웠고, 50세에 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다고 응답한 사람이 80대에 가장 건강했다. 따뜻한 관계 대신 고독감을 느끼는 사람은 행복감을 덜 느낄 뿐 아니라, 건강이 더 빨리 악화되고, 뇌 기능이 일찍 저하되며, 외롭지 않은 사람들보다 수명이 짧았다.

가까워지기도, 멀어지기도 하는 사람의 관계를 어떻게 잘 쌓아갈 것인가. 스스로도 다양한 인연을 통해 만나는 분들과 어떤 삶을 연결해갈지 고민이 많았다. 그러던 어느날, 누구에게나 있는 그대로 대하면서 사람들과 관계를 잘 유지하는 분에게 비결을 물었더니 그는 다음처럼 이야기했다.

‘사람들과 지내다보면 상황에 따라 가까워지기도 멀어지기도 한다. 그걸 조정하는 것은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 일이다. 하지만 친한 사이가 아니라 친절한 사이가 되면 오랫만에 보는 사람도, 갑자기 친해진 사람도 한결같이 대할 수 있었다.’

친한 사이를 원하는 사람은 서로가 느끼는 거리감에, 친절한 사이는 서로에 대한 태도에 주목하게된다. 그런데 서로 얼마나 친한지를 신경쓰는것은 두 사람의 인식이 다르므로 건조하고 상대적이며 불편하게 되기 쉽다. 하지만 친절하게 대하는 것은 거리와 무관하게, 상황과 상관없이, 오랫만의 만남인지 초면인지 신경쓸것 없이 언제든 가능하다. 이것은 상대방의 반응을 초월해서 스스로 마음먹기에 따라서 가능하므로 더 의미가 크다. 건강한 관계는 이렇게 친절과 배려에서 싹튼다.

함께라는 영역에서 우리가 집중해야할 것은 거리가 아니라 태도이고, 계산이 아니라 함께하는 순간이다.

다른 게시물 더보기

시간을 다스리는 자 – 100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의 지혜

시간을 다스리는 자 – 100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의 지혜

한 노교수가 지방 강연차 김포공항에서 수속중이었다. 그런데 940번을 비행기를 탄 그가 발권이 되지 않아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알고보니 시스템상 그의 나이가 '1세'로 나와서 보호자 없이는 발권이 되지 않는게 아닌가. 사실 그는 1920년 생으로 100세가...

글루코스 혁명 – 과학적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혈당 관리 비결

글루코스 혁명 – 과학적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혈당 관리 비결

이 책은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며, 원푸드 다이어트 같은 부작용도 심하고 고문에 가까운 식이요법이 아니라 좋아하는 음식을 마음껏 먹으면서 노화를 줄이고, 건강을 증진하는 비결로 혈당을 일정하게 할 것을 추천합니다.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과학자가...

게임이 아니라 즐거움이다 – 변화를 쉽게 하는 힘

게임이 아니라 즐거움이다 – 변화를 쉽게 하는 힘

꿈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나는 얼마전에 삶에서 기록적이라고 할 만한, 엄청난 해몽의 꿈을 꾸었다. 검색을 아무리 해봐도 대박이 아닐 수 없었다. 그리고 근 10년만에 로또를 샀다.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사람들은 로또에 될 확률이 매우 낮다는 것은 알지만 1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