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의 세 가지 선물

2022년 02월 13일 | CEO story

톨스토이는 단편 ‘세 가지 질문’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전한다.

한 황제가 있었다. 그는 제국을 이룬 뛰어난 왕이었다.
어느 날 황제는 만일 그가 모든 일을 언제 시작할지, 또 어떤 사람과 일하고, 어떤 사람과 일하면 안 될지, 더 중요하게는 어떤 일이 가장 중요한지를 항상 알 수 있다면 어떤 일에도 실패하지 않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자를 찾아간 황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 가장 중요한 시간은 언제인가?
– 가장 필요한 사람은 누구인가?
–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가?

현자는 우여곡절끝에 다음과 같은 대답을 주었다.

1) 가장 중요한 시간은 ‘지금’이다.
우리는 바로 지금 이 순간에만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와 미래는 직접 통제할 수 없다.

2) 가장 필요한 사람은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이다.
지금의 가능성이 앞으로 어떤 관계가 될 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3) 가장 중요한 일은 ‘선행’이다.
사람은 오직 그것을 위해서만 살아가도록 보내졌기 때문이다.

코로나 첫 발병시 많은 사람들은 메르스보다도 길지 않을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이렇게 팬데믹이 오래 갈 줄은 아무도 몰랐다. 그 사이에 많은 자영업자들은 배달로, 무인으로 전환해야했고 상당수는 매장을 닫아야 하기도 했다. 어떤 택시 운전사는 배달 기사로 전업할줄 불과 몇달전에도 몰랐을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의 영역이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만 우리를 통제할 수 있다.

디즈니를 또 다른 제국으로 만든 로버트 아이거는 누군가와 만날때면 아예 휴대폰을 가지고 가지 않는다고 인터뷰에서 이야기 한 바 있다. 그는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에게만 집중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복잡한 협상과 어려움을 이겨내고 수 차례의 M&A를 발판으로 디즈니를 오늘날과 같은 거대 IP 왕국으로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그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폭넓게 아우르며 신뢰받는 리더의 상징이 되었다.

‘세 가지 질문’에서 황제는 눈 앞에 있는 죽음을 앞둔 청년의 목숨을 구해준 후에 그가 사실 자신을 노리러 온 암살자였음을 알게 된다. 황제는 청년이 아니라 그 자신을 구한 것이다. 부러진 제비의 다리를 고쳐준 흥부가 가난한 집안을 일으키듯 ‘선행’은 그 빛을 우리가 계산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펼친다.

지금 이 순간, 내 앞의 바로 그 사람에게 사랑과 평화를 전한다.
세속에 물들고 세태에 시달려 본질을 잃어가는 매일 매일이 다시 태어나는 것은 바로 그때이다.
우리는 바로 그런 이유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른 게시물 더보기

강제로 인사시키지 않는다 : 동료를 몰입하도록 만드는 방법

강제로 인사시키지 않는다 : 동료를 몰입하도록 만드는 방법

어떤 일을 왜 하는지, 그 일이 완료되면 어떤 결과가 기대되는지, 지금 이 일을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지가 전달되지 않았으므로 저런 이야기가 나왔음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그 때 이미 우리는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꼰대의 늪에 빠져들게 된 것이다.

우려를 배려로 변화시킨다

우려를 배려로 변화시킨다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결국 ‘스트레스 호르몬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하는 방향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 변화를 본의와 타의에 의해 늘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을까?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직 만들기 (1)미션 설정하기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직 만들기 (1)미션 설정하기

미션은 그 회사가 존재해야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좋은 멤버일수록 급여와 복지보다 그 회사의 미션과 문화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미션이 잘 전달된 구성원은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갖는다. 잘 설정된 미션은 힘든 상황에서도 버틸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